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종신보험 연금전환 수령금액 실제후기(ft. 유리한 경우, 무조건 손해)

by blog48774 2025. 10. 25.

몇 년 전까지만 해도 종신보험은 ‘가족을 위한 사망보장 상품’으로만 인식되었습니다. 하지만 최근 저금리 시대가 장기화되면서, 기존 종신보험을 연금으로 전환해 노후자금으로 활용하려는 흐름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.

저 역시 10년 전에 가입했던 종신보험의 납입이 끝난 시점에서, ‘이걸 계속 유지해야 할까, 아니면 연금으로 전환할까?’ 고민이 많았습니다. 보험사 상담을 받으면서 실제로 연금전환 시 받을 수 있는 수령금액 차이를 확인해보니, 생각보다 큰 차이가 있었죠.

이 글에서는 종신보험 연금전환의 핵심 개념부터 수령금액 계산 방법, 그리고 실제 사례까지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.
특히 마지막 부분에는 중요한 점이 있으니 꼭 끝까지 읽어주세요.

 

종신보험 연금전환 수령금액 - 연금전환 시 수령금액 계산 방식 완전 해부

종신보험을 연금형으로 바꿀 때 가장 중요한 것은 ‘해지환급금 기준’과 ‘연금전환 공시이율’입니다.
즉, 단순히 지금까지 낸 보험료가 아니라, 보험사 내부의 적립금 운용 수익률과 공시이율에 따라 실제 수령금액이 달라집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👉 팁: 연금전환 전 반드시 보험사별 “연금전환 공시이율표”를 비교하세요. 매월 변동될 수 있으니, 시점을 잘 잡는 것도 중요합니다.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KB손해보험사 월별공시이율표를 볼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가능하니 꼭 체크하시기 바랍니다.

연금/퇴직보험(월별공시이율) | KB손해보험 [A]

 

연금/퇴직보험

국민의 평생 희망파트너, KB손해보험

www.kbinsure.co.kr

 

기본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현재 종신보험의 해지환급금 산정

이를 기준으로 보험사가 제시하는 연금전환 공시이율 적용

연금 개시 시점, 수령 기간, 수령 방식(종신형·확정기간형) 결정

위 조건에 따라 매월 또는 매년 지급액 산출

예를 들어,

납입 기간 10년,

월 납입액 30만 원,

현재 해지환급금 2,400만 원,

연금전환 이율 3% 적용 시,

60세부터 연금 개시 기준으로 매월 약 13~15만 원 수준의 평생연금 수령이 가능합니다.

여기서 핵심은 “보험사별 공시이율”입니다.
같은 해지환급금이라도 A사는 3.0%, B사는 2.2%라면, 장기적으로는 총 수령액이 수백만 원 이상 차이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종신보험 연금전환 수령금액 - 연금전환시 유리한 조건 불리한 조건 체크리스트

연금전환은 무조건 좋은 선택이 아닙니다. 다음 조건을 비교해서 유리한 사람 / 불리한 사람을 구분해 보세요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연금전환 관련 최신이슈의 경우 아래 버튼을 누르시면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사이트로 넘어가니 방문하셔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유리한 경우

종신보험 납입 완료 후 10년 이상 유지 중

해지환급금이 원금 이상인 경우

사망보장보다 노후자금 목적이 더 큰 경우

공시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보험사 상품

 

불리한 경우

납입 기간이 짧거나, 해지환급금이 원금 미만인 경우

향후 사망보장 혜택이 필요할 경우 (예: 자녀가 어리거나 부양가족이 많을 때)

단기적으로 자금이 필요해 일시금 해지를 고려 중일 때

또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연금 개시 시점의 유연성입니다.
보통 보험사에서는 55세, 60세, 65세 등 개시 시점을 선택할 수 있는데,
늦게 받을수록 월 수령금이 커지고, 일찍 받을수록 총액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.

 

👉 체크리스트

내 종신보험의 해지환급금은 얼마인가?

연금전환 공시이율은 몇 %인가?

연금 개시 시점을 언제로 할 것인가?

종신형 vs 확정형 중 어느 쪽이 적합한가?

 

종신보험 연금전환 수령금액 - 실제 사례로 본 종신보험 연금전환 수령금액 비교

저는 실제로 2012년에 가입했던 20년납 종신보험을 가지고 있습니다.
당시 납입액은 월 25만 원, 총 납입금은 약 3,000만 원이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
납입 12년 차인 지금 해지환급금을 확인해 보니 약 2,850만 원 수준이더군요.

보험사에 문의해 연금전환 시 수령금액을 비교해봤습니다.

A사 기준: 공시이율 3.0%, 65세 개시, 종신형 → 월 약 19만 원

B사 기준: 공시이율 2.5%, 65세 개시, 종신형 → 월 약 17만 원

불과 0.5% 차이인데, 장기적으로 보면 총 1,000만 원 이상 차이가 났습니다.
결국 저는 이율이 높은 A사로 연금전환을 진행했고, 실제 계약 변경 시점의 이율을 확정받았습니다.

이 경험을 통해 느낀 건,
연금전환 수령금액은 ‘보험사 선택’과 ‘타이밍’이 전부라는 점이었습니다.
조금만 서두르면 평생 받을 돈이 달라집니다.

 

 

 

종신보험 연금전환, 결정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

 

정리하자면, 종신보험 연금전환을 고려할 때는 다음 세 가지를 꼭 기억해야 합니다.

해지환급금이 원금 이상일 때 전환하는 것이 유리하다.

공시이율이 높은 보험사를 선택해야 장기적으로 수령금이 크다.

연금 개시 시점을 늦출수록 월 수령금이 늘어난다.

종신보험을 단순히 “사망보장용”으로만 두기엔 아깝습니다.
납입이 끝난 상품이라면, 연금전환을 통해 평생 수입원으로 전환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할 만한 전략입니다.

다만, 한 번 전환하면 다시 종신형으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, 전환 전 상담을 통해 정확한 금액과 조건을 비교하는 것이 필수입니다.